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0

자동차 드리프트의 과학적 원리 (1) - 언더스티어 vs 오버스티어 많은 운전자들의 로망 드리프트 실제 도로에서 드리프트를 해본 사람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만약 본인이 의도하지 않은 드리프트를 대처방법을 배워놓지 않은 상태에서 경험했다면 그 차는 이미 사고가 났거나 못해도 아찔한 기억으로 남아 있을 테니. 하지만 드리프트를 한번쯤은 해보고 싶지 않은가? 필자도 드리프트에 굉장히 관심이 많았지만 전륜 차는 안된다고 해서 아쉬웠던 기억이 있다. 전륜도 드리프트가 가능하긴 하다. 국민적인 인기를 얻었던 게임인 카트라이더와 아직도 매니아층에서 회자되는 애니메이션인 이니셜 D에 나오는 드리프트는 쉬워 보이지만 사실 연습을 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굉장히 어렵다. 또 연습을 할 공간도 마땅치 않고 일반 공도에서 연습을 하는 것은 연습만으로 차를 폐차시킬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만 한다... 2022. 4. 23.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와 한계 (2) - 공간의 소리를 없앨 수 있을까? 노이즈 캔슬링 스피커는 없을까? 노이즈 캔슬링이 대중화 되었지만 ANC기능이 탑재된 제품을 찾아보면 헤드폰이나 이어폰에 한정되어 있다. 그런데 이 기술을 조금 더 확장하면 ANC가 가능한 주파수내에서 특정 공간의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저주파 영역에서 조차 공간의 소리를 상쇄시킬 노이즈 캔슬링 스피커는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왜 그럴까? 이 기술이 실현된다면 공항 주변의 많은 집들이 항공기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입지 않아도 되고 정부에서도 관련 보상금이 추가로 들지 않아 엄청난 경제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 텐데 말이다. 물론 공간상에서 노이즈 캔슬링이 된다는 것은 도서관에서 이어폰을 꽂지 않고 큰 볼륨의 클럽 노래를 틀고 혼자 즐길 수도 있다는 것인데 기술적 한계가 있는 걸까? .. 2022. 4. 22.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와 한계 (1) - 에어팟이 커널형이 된 이유는? 노이즈 캔슬링(Noise Cancelling)의 대중화 에어팟 프로의 출시와 함께 노이즈 캔슬링의 시대가 열렸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줄이 달린 이어폰을 사용했던 것 같은데 그 줄이 사라지기 시작했고 줄이 사라진 블루투스 이어폰에는 노이즈 캔슬링이라는 기술이 기본 탑재되기 시작했다. 물론 보급형 노이즈 캔슬링의 성능이 그리 좋지는 못하지만 이어폰을 끼고 나면 주변의 소음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신기한 체험을 할 수 있다. 그런데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들을 착용하다 보면 한 가지 불편한 점이 있다. 외부의 소음을 물리적으로 차단시키는 커널형이 적용되어 있다는 것인데 오픈형을 주로 사용하던 필자 입장에서 적응이 되기 전 까지는 굉장히 불편했다. 그런데 뭔가 이상하지 않은가? 다들 알고 있다시피 노이즈 .. 2022. 4.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