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3

항법의 발전 (2) - 천문 항법(경도), 전파 항법, 위성 항법 앞서 먼 거리를 항해할 때 눈으로 확인하는 지문 항법, 하늘을 보고 확인하는 천문 항법 그리고 나침반으로 속도와 방향을 구해 나아가는 방법을 통해 목적지를 향해 가는 것을 알아보았다. 지구에서의 위치를 표시함에 있어 현대의 방식처럼 위도와 경도 좌표만 주어진다면 그 어디든 찾아갈 수 있었을 텐데 과거에는 왜 이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을까? 알아내는 것이 불가능한 경도 위도(緯度, Latitude)는 지구상 적도를 기준으로, 경도(經度, Longitude)는 본초 자오선(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자오선)을 기준으로 얼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낸다. 위도는 육분의라는 도구를 사용해 해수면과 북극성의 각도를 구한다면 비교적 쉽게 얻어낼 수 있었지만 경도는 하늘만 바라보아선 지금 어디에 있는 것인지 도저히 .. 2022. 9. 27.
항법의 발전 (1) - 지문 항법, 천문 항법(위도), 나침반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활용해 차량의 내비게이션이나 핸드폰의 지도를 통해 길을 잃지 않고 목적지를 찾아간다. GPS에 너무 의존하다 보니 가끔 '만약 GPS가 없다면 어떻게 찾아왔을까?'라는 상상도 해보지만 역시 무리일 것 같다는 생각이 앞선다. 하지만 GPS가 없던 시절에도 먼 거리를 이동했던 선조들은 과연 어떻게 길을 찾아갔을까? 두려움의 존재 바다 거대한 파도가 몰아치는 바다는 언제나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남편을 바다로 떠나보내는 아낙들은 가슴을 졸이며 무사 귀환을 기도했고 바다로 떠나는 가장은 집에 있는 가족들을 위해 목숨을 걸고 바다로 나갔다. 만선의 꿈을 품고 먼바다로 나가는 어부들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때론 먼 옛날 조상으로.. 2022. 9. 27.
부력의 원리 - 철로 된 배는 어떻게 물위에 뜰까? 우리는 먼 거리를 이동할 때 다양한 이동수단을 사용한다. 땅 위에서는 자동차나 기차, 하늘에서는 비행기 그리고 바다에서는 배를 타고 다니는데 가장 대규모의 이동이 가능한 것은 단연코 배가 아닐까 싶다. 배수량 기준 역사상 가장 큰 배는 1975년 일본의 스미토모 중공업에서 건조한 자르 바이킹으로 화물을 가장 많이 실었을 때 60만 톤이나 적재가 가능하다고 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철은 물에 뜨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 주변의 배는 무거운 철로 만든 것도 모자라 화물을 가득 채우고도 무리 없이 운행이 된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물은 생각보다 무겁다. 혹시 물의 무게를 느껴본 적이 있는가? 요즘 많은 사람들이 생수를 사 먹어 가끔 직접 들어봐 2L짜리 6개 한 묶음이 12kg이나 해 나름 무거운 것은 .. 2022. 9. 14.
반응형